2024/06 3

[AWS] 도메인 등록

namecheap 여기서 산다 -> Route 53에서 호스팅 영역 생성 ->다시 Namecheap에서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Route 53 네임서버로 변경(넷 다 넣음) ->Route 53에서 A 레코드 생성->SSL 인증서 생성 (ACM 사용)->EC2 인스턴스 ->로드 밸런서 설정 및 아까 생성한 인증서(드롭다운하면 뜸)사용하여 HTTPS 리스너 구성  ->생성중 대상 그룹 생성해서 ec2 넣고, 내 백엔드 서버 api에 헬스체크 엔드포인트를 생성하고 로드밸런서 마저 생성->다시 Route 53에서 A 레코드를 별칭으로 바꾸고 로드밸런서로 설정! 까지 하면 도메인 생성됨!

[AWS] nest 배포

가입하면 제일 먼저 Elastic Beanstalk 쓰거나 EC2 부터 생성한다. Elastic Beantalk 가 nest랑은 별로 안좋은게,업로드 500mb 제한이 있어서 도커도 안올라가고, 필수파일 압축파일도 500메가 훌쩍 넘음컨테이너 어쩌구로 한번 우회해서 올려야 하는데, 거기도 private 레포지토리는 500메가부터 비용청구됨. EC2 생성은 UI가 상당히 업데이트돼서 어려울건 없고, 프리 플랜이라고 써져있는걸 선택해야 한다는걸 인지해야하고, 키페어가 있어야 한다는것도 인지해야함(키페어는 계정에 저장되는듯 함. 드롭다운에 있음) RDS 생성할때 EC2랑 엮어서 생성야 AZ까지 같은 곳에 생성됨.(다른AZ에선 비용 발생함)이때 보안그룹, vpc 자동 생성해주는데, RDS에 뭘 해도 퍼블릭 엑세..